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기자 시작합니다. <br> <br>외교안보국제부 김민곤 기자 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[질문1] 김 기자, 이르면 당장 내일 북한군의 전투가 치러질 수도 있겠는데요, 러시아 입장에서는 자기들을 도우러 온 북한군을 환영하지 않는 분위기 같네요? <br> <br>[답변1]<br>네, 그런 정황이 러시아군 대화를 도청한 결과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북한군을 'K대대'라고 부르며 욕설을 내뱉는 상황이 그대로 담겼는데요, <br> <br>함께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><br>[러시아군] <br>"K대대에 대해 얘기하고 있더라고. 그래서 내가 누가 총기와 탄약을 받아가는 거냐고 물었지. 그랬더니 망할 그 대대가 가져간다고 들었어." <br><br>러북 정상은 지난 6월 평양에서 직접 만나 러북조약을 체결하며 밀착하는 행보를 보이고 있지만, 실제 일선에서 싸우는 장병들의 생각은 별개일 수 있다는 점을 여실히 보여주는 대목입니다. <br><br>또 음성을 보도한 미국 CNN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북한군을 "빌어먹을 중국인들"이라고 비난하기도 했는데요, <br><br>러시아와 중국 정상도 최근 브릭스 회담에서 우호를 과시하며 "친구"라고 부르기도 했지만, 실제 러시아의 일반 국민들이 중국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보여주고 있습니다. <br><br>[질문2] 그래도 같이 싸우러 온 건데, 러시아군은 왜 이렇게 북한군을 못 미더워하는 걸까요? <br> <br>[답변2]<br>전쟁터라는 공간을 생각해봐야 할 것 같은데요, <br> <br>자신들의 생명이 달려있기 때문일 겁니다. <br> <br>북한군은 소통 문제가 있어서 러시아군과 별도의 부대로서 독자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은데요, <br><br>북한군이 전선에서 일부 지역을 맡게 되는 상황을 가정해보겠습니다. <br> <br>북한군의 전투력을 모르는 러시아군의 입장에서 북한군이 맡은 지역이 뚫릴 경우 우크라이나군으로부터 측면을 공격받아 포위될 위험이 생깁니다. <br><br>일부에선 북한군 특수부대와 러시아군 기계화부대 같이, 성격이 다른 별개의 부대를 하나로 묶어 임무를 부여하는 '편조'를 할 수도 있는데요, <br><br>이럴 경우 "작전의 이해도가 달라 도리어 혼란이 발생해 함부로 수행할 수 있는 게 아니"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시각입니다. <br><br>특히 러북 두 나라가 밀착행보를 보인 것이 오래된 것은 아니죠. <br> <br>오랜 기간 지휘통신체계가 달랐던 만큼, 러시아 현지에서 이와 관련한 훈련을 집중적으로 받아야 했을 겁니다. <br> <br>그런데 북한군이 러시아로 처음 간 게 지난 8일이니까 길어도 18일밖에 시간이 없었거든요. <br> <br>그 정도 훈련기간으로 제대로 적응했을지에 대한 의문이 남습니다. <br><br>때문에 일각에서는 러시아군 지원 업무를 먼저 수행하게 한 다음에 실제 교전에 투입할 수도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. <br> <br>[질문3] 결국 시간문제이긴 합니다만, 북한군도 교전에 들어갈 수 있다는 건데, 이에 대한 국제적인 제재는 가능한가요? <br> <br>[답변3] <br>쉽지 않을 전망입니다. <br> <br>북한군의 러시아 파병은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는 것이라는 주장을 제기해도 이를 근거로 제재하기 어렵다는 겁니다. <br><br>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엔 5개 나라가 있는데, 당사자인 러시아와 우방국인 중국이 있는 만큼 제재를 부과하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입니다. <br><br>대통령실 고위관계자 역시 "유엔의 역할에 제한이 있게 된 것이 안타깝다"면서도 "유엔보다 규모는 작지만 가치 공유국끼리 시스템을 활용해 계속 문제를 제기하면 러북에 제약이 된다"고 말했습니다. <br><br>다만 북한에 대한 제재는 이미 상당하게 이뤄지고 있단 점에서 추가 제재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도 나오고 있는 것도 현실입니다. <br> <br>따라서 우리 정부로서는 우크라이나 지원에 보다 방점을 두고 움직일 수밖에 없다는 해석도 나옵니다. <br><br>지금까지 아는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김민곤 기자 imgone@ichannela.com